• 반응형
    K리그 18라운드 2022.06.27
    반응형
  • 반응형
    K리그 17 라운드 2022.06.22
    반응형
  • 반응형
    K리그 16라운드 2022.06.20
    반응형
  • 반응형
    K리그 15라운드 2022.05.30
    반응형
반응형

K리그 18라운드

 

울산 0 : 0 성남

 

가장 논란이 된 경기였다.

무려 세 번의 판독이 있었다. 물론 경기 중에 VAR 세 번 이상 판독은 흔하다.

오프사이드나 PK 또는 악질적인 파울 같은 게 나올 경우 납득하는 경우가 있지만 항의할 때도 있어 이런 경우 확실하게 짚고 넘어가려고 한다.

 

이번 경기가 논란이 되는 건 모두 이상 없음이 나왔는데, 납득하기 힘든 내용이 있었다.  

일단 VAR은 시행되지 않았지만 후반 63분은 VAR 판독이 이뤄졌어야 했다. 세 번째 본 임종은 상황과 비슷했는데 신체 접촉은 더 있었다.

 

첫 번째 VAR은 마상훈과 아마노 준의 접촉은 상관이 없다. 마상훈의 태클이 아닌 김태현과 접촉 유무룰 봤는데 이건 애매했다. 인정한다.

두 번째 엄원상의 득점 이후 박주영의 파울 체크는 핸드볼 여부가 아니라 마상훈이 걷어낼 때 접촉이 있나 여부였다. 엄원상의 볼 소유가 이뤄질 수 없어야 했기 때문에. 만약 방해가 되었다면 이 역시 넘어갈 수 있다. 

울산 홈이었고, 성남 상대로 이기지 못한 분위기여서 그렇지 중계 화면으로 보이는 VAR만 보면 심판 판정 납득 가고 존중 받아야 한다.

문제는 세 번째인데, 여기에선 PK가 주어졌어야 했다. 왜냐하면 분명히 임종은에게 가해지는 작위적인 발동작이 있었고, 두 번째 골 취소였던 박주영과 마상훈의 접촉보다 더 정확하게 일어났기 때문이다.

여기서 끝내고 논란도 없을 상황이었으니 빗나갔다.
세 번째 비디오 판독. 시간을 보라.

첫 번째, 두 번째 냉정하게 아니었다. 하지만 세 번째는 PK 불렸어야 했다고 본다. 후반 63분 판독도 하지 않고 넘어간 장면이 있지만 나는 그것과 이 세 번째 판독은 불려야 했다고 본다. 공과 아주 근접하지 않았지만 고의적인 접촉은 있었다.

63분의 장면 PK가 불렸어야 했다. 하지만 VAR 판독조차 들어가지 않았다.

이게 오심인지 정심인지도 모른다. 작년까지 각 라운드가 끝난 후 정심인지 밝히던 회의를 올해 두루뭉술 없앴기 때문이다. 이건 심판 스스로 무능을 자초하는 것이다.

 

그리고 성남은 제발 떨어져라. 저게 축구냐?

그냥 텐 백 세우고 짜임새 있는 역습을 한다거나 그런 철학도 없다. 뮬리치랑 우당탕탕. 저게 뭐냐고? 

김남일이 아무 철학 없이 극단적으로 안티풋볼하는데, 그 전에도 김남일 축구가 뭔지 모르겠다. 

일찍 강등이 확정되어 그냥 마음 비우고 텐 백 수비만 하지 말고 제대로 된 축구를 했으면.

저건 볼 돌리는 연습을 하프 코트에서 하는 거 아니냐. 

중동도 아니고 시간 끌려고 눕고, 울산 선수가 어이없어서 웃는데, 같은 선수끼리 이런 취급을 받는 축구하지 마라. 적어도 K리그에서 보기 싫다.

살짝 밀어도 자빠지고, 체력 훈련이 안 되었나 경련은 엄청 난다

 

서울 1 : 1 인천 - 무고사 안녕

 

여름 이적 시장이 열렸고 셀링클럽이자 춘추제로 열리는 K리그 팀들에겐 긴장해야 하는 때다. 그리고 인천은 무고사의 이적이라는 날벼락 같은 소식이 들렸다.

정말 뜻밖의 소식이었다. 무고사의 바이아웃이 정말 턱없이 적었다. 그리고 연봉은 두 배인데 용병으로서 안 갈 수가 없다. 

 

그래서 그런지 무고사 고별전이었던 인천전에는 서울 서포터보다 많이 온 것 같다. 조성환 감독은 미련 때문인지 확답은 안 줬지만 무고사는 경기 후 인터뷰에서 결별을 확정했다. 

서울은 여름 이적 시장에 욕심을 조금 부렸으면 한다. 용병 구하기가 쉽지 않겠지만 제대로 좀 데려와 써라.

 

수원 삼성 0 : 3 수원 FC - 수원의 주인은 누구?

 

수원더비에서 수원 FC가 수원 삼성을 완파했다. 

전반 1분 지나 무릴료와 라스의 콤비로 선제골을 기록했다. 작년에 자주 본 둘의 세리머니를 이제야 봤다.

장혁진의 추가골까지 터지며 전반 5분 만에 2-0으로 앞서 가며 대승을 예약했다.

라스의 기가 막힌 스루패스와 수원 삼성 팬이라고 대놓고 밝힌 이승우의 칩샷으로 3-0 전반 중반에 게임 끝내버린다.

서울 원정에서 저 현수막 걸어야지. 정작 원정에서 몇 경기 걸고 끝났다.

 

전북 1 : 1 대구 

 

전북이 좀처럼 연승 가도를 내지 못 한다. 홈에서 제주에 0-2 충격패했지만 울산 원정에서 대파하고 이어 수원 삼성을 잡으며 다시 궤도에 오르나 싶었는데, 대구 상대로 홈에서 비겨버렸다.

김진수가 오른발로 골을 넣는 진풍경도 나왔다. 경기 끝나고 김진수가 확성기를 들고 사과를 하기도 했는데, 

물론 전북 서포터가 비단 성적이 아니라 여러모로 불만이 있는 건 알지만 벌써 저렇게 압박할 이유가 있나?

강원 FC 4 : 2 제주 UTD

 

최근 제주, 포항, 인천 등 다실점하며 패하던 강원이 뜻밖에도 제주를 네 골이나 넣으며 완파했다.

김대원의 멀티골이 있었고, 이날 이정협이 첫 골을 넣었다.

3실점 4실점 등 다득점 패배가 많았는데, 강원이 3득점한 건 처음이라고 한다. 반등의 계기가 될 수 있을까.

포항과 김천 상무는 1 : 1로 비겼다.

반응형

'축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K리그 20 라운드  (0) 2022.07.07
K리그 19라운드  (0) 2022.07.04
K리그 17 라운드  (0) 2022.06.22
K리그 16라운드  (0) 2022.06.20
K리그 15라운드  (0) 2022.05.30
반응형

17 라운드

 

서울 1 : 2 울산 

 

서울은 이른 시간 팔로셰비치의 기가 막힌 중거리 슛으로 앞서 갔지만 결국 울산을 넘어서지 못했다.

후반 오스마르와 황인범의 이탈도 컸고, 다른 거 필요없이 울산이 강했다. 울산은 연패가 없고 로테이션을 가동해 따낸 승리였다. 김기희도 드디어 복귀.

서울은 경기 후 오스마르와 황인범 부상이 있어서 암담하다. 

 

 

 

전북 2 : 1 수원

 

이병근 감독 부임 반짝 효과도 끝이 났다. 다시 연패로 접어드는 수원 삼성. 물론 상대가 전북이긴 했다.

올 시즌 유독 홈에서 승리가 없었는데, 울산 원정 대승에 이어 홈에서까지 승리하며 전북은 전북이라는 걸 알려줬다.

 

그런데 이병근 감독님 경기 전 인터뷰에서 어린 친구가 더 어린 친구 상대로 라는 워딩은 옳지 않아요. 개인과 개인으로 가면 안 됩니다. 이번 슈퍼매치 수원 삼성 서포터의 FC 서울 팬 폭행은 집단이 앳된 한 명의 선수를 노린 집단 폭행 혹은 방조 사건입니다. 

 

구단이 해프닝이라고 표현을 하고, 이유 여하 막론이라고 사과문에 써서 마치 시비가 있는 듯한 뉘앙스를 주고 구단 클래스를 보여주는 이후 대응처럼 감독조차 개인과 개인으로 축소를 하면 안 됩니다.

 

2년 자체 징계는 수원 삼성 팬들도 납득 못 하는데, 이게 구단이 아닌 프렌테 트리콜로 측에서 공표한 걸 옮긴거라고 하고, 구단이나 서포터나, 중학생이 땅바닥에 메다꽂혔는데 좋다하고 뛰어가서 구단 응원가 부르면서 유니폼 벗으라고 한 인간들이나 총체적 난국이다. 부끄럽지도 않나? 아직도 열불이 난다. 

 

이건 집단이 개인 상대로 한 행위고 경기 전 경기장 내에서 일어난 일이다. 구단에도 징계가 있어야 한다. 연맹 징계가 어떻게 나오는지 지켜보고 있다.

 

수원 FC 2 : 1 포항스틸러스

 

홈승우!

이승우가 기록한 골은 이번 시즌 K리그 베스트 골 혹은 그 후보에 들어갈 정도로 기가 막힌 골이었다.

포항은 이 더운 날 이수빈의 이른 시간 경고 누적 퇴장으로 이기기 버거운 경기였다. 

이수빈은 파울 횟수도 잦았고, 경고를 받은 상태였는데 왜 그렇게 플레이했는지 아쉽다.

 

https://sports.news.naver.com/kfootball/vod/index?uCategory=kfootball&category=kleague&id=956018&redirect=true

 

'온몸에 전율이 돋는 환상적인 궤적' 깔끔한 원더골로 선제골을 가져가는 이승우 / 후반 17분

주요장면

sports.news.naver.com

 

인천 UTD 4 : 1 강원 FC - 무고사 더블 해트트릭!

 

무고사는 더블 해트트릭을 기록했다. 일반 A매치도 아니고 무려 네이션스리그에서 몬테네그로 공격수로 나서 루마니아 상대로 해트트릭을 기록했다. 그리고 오늘 K리그 강원전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했다. 일주일에 두 번의 해트트릭! 

 

무고사 의존 걱정이 왜 나오는지 모르겠다. 잘 넣으면 그대로 놔두고 그를 위해 전략을 짜면 되고 이후 부상이나 슬럼프 오면 또 다른 전술 플랜을 들고오면 그만이다.잘 하는데, 나중 생각에 비중을 낮춘다는 것 바보 같은 소리. 

 

강원은 종잡을 수 없는 팀이다. 성남과는 비교할 수 없이 승점을 쌓고는 있지만 꾸역꾸역 이기거나 대패하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대구 FC 1 : 0 제주 UTD-추가시간 조진우의 극적인 코너킥 골이 터졌다.

김천상무 1 : 1 성남 FC

 

2부 리그

 

이번 20라운드에는 광주와 대전 1,2위와 부천과 안양 3,4위 대결이 있었다.

 

광주 이정효 감독은 이기든 지든 승부를 내겠다. 선수단에게 메시지를 주며 경기에 임했지만 결과는 1-1 무승부. 

부천과 안양은 안양이 전반 초반 조나탄 선제골 후 일찍부터 잠그기에 들어가며 잡아낸다. 하지만 순위 변동은 없다. 

 

 

이로써 2부 리그는 모든 팀이 20경기를 하며 반환점을 돌았다. A매치 기간에도 쉬지 않고 경기를 했는데, 아직도 20경기나 남았다. 

 

7월 K리그 일정이 이해가 안 간다. 토트넘 전에 그대로 진행하면 됐다. 뭔데 한 클럽의 두 경기 때문에 전체 리그가 멈추나? 토트넘, 세비야만 하든가, 티켓 파워가 있는 팀이랑 붙으면 된다. 왜 K리그 올스타를 들러리로 세우나?

 

그 와중에 동아시안컵까지 있다. 그리고 이때도 리그가 중지된다. 이건 국내파만 소집하는데, 당연하고. 하위 클럽이 승점 딸 기회라는 건 이해 못하겠다. 그런 생각은 곤란하다. 

 

관중을 위한 최상의 경기력을 위해 U-22룰도 폐지나 축소를 해야 하는 마당에, 그렇게 승점 따면? 스타 없는 경기장에 관중이 찾아가고, TV 시청을 할지 조금 더 대승적으로 생각하길 바란다.  

반응형

'축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K리그 19라운드  (0) 2022.07.04
K리그 18라운드  (0) 2022.06.27
K리그 16라운드  (0) 2022.06.20
K리그 15라운드  (0) 2022.05.30
K리그 14라운드  (0) 2022.05.22
반응형

스케줄이 아쉬웠다. 같은 날 전북과 울산의 현대가 더비(개인적으로 필자는 '정상 결전'이라고 부르지만.)와 서울과 수원 삼성의 슈퍼매치가 열린다는 건 흥행 손해다. 특혜가 아니라 관중 배려다.해외 빅클럽처럼 다른 날로 배분하는 게 맞다고 본다.

 

울산 1 : 3 전북 - 우승 경쟁 다시 시작

 

전반에 승부가 끝났다. 시즌 10경기 무패와 압도적 선두로 오늘 경기 승리로 마치 조기 우승을 달성할 것만 같던 분위기의 울산 문수 구장은 침울했다.

두 골째를 허용했을 때 분위기는 마치 몇년 전 비오는 날의 동해안 더비 최종전이나 전북과의 파이널 라운드에서 패했을 때와 같았다.

 

전반에 승부가 갈린 경기였다. 세 골이나 허용. 엄원상이 한 골 만회했지만 그대로 끝이 났다. 

'문제아' 용병 두 명이 제대로 해준 경기였다. 

바로우는 작년에도 이적과 관련해서 말이 나온 선수였고 올해 초에 보이지 않아 떠났나 했는데 다시 모습이 보여 놀랐다.

쿠니모토는 김상식이 인터뷰에서 개인사적인 문제라 언급을 했고, 선수는 부정을 했고 어떤 문제가 있는 건 확실했다.

일본에서 사실상 퇴출된 후 와서 놀랍진 않았지만 어쨌든 시즌 초반 전력에 도움이 안 되었던 두 명이 제 실력을 발휘하니 이렇게 무섭다. 

두 선수 다 비슷한 중앙 지역에서 골을 기록했는데, 전북 같은 우승 DNA가 만들어진 팀은 이런 경기를 기점으로 쭉 치고 올라갈 수가 있다. 울산은 그냥 1패라고 위안 삼으면 될 듯. 벌써 쫓기는 마음을 가지며 다른 경기를 망칠 필요는 없겠다.

본격적인 승부가 진행되는 리그 중반에 라이벌 팀에게 대패를 했으니 그래도 찜찜할 것이다. 잘 극복하길.

 

수원 삼성 0 : 1 FC 서울

 

슈퍼매치. 조영욱의 골로 승. 수원 삼성을 넣어줘야 할 기회에서 넣지 못 하는데 이길 수가 없다. 최소 비길 경기를 졌다. 

수원 삼성은 이 장면이 제일 아쉬웠다. 이런 걸 놓치면 이길 수가 없다.

 

두 경기보고 2부리그 직관가고 하느라 다른 경기는 전혀 체크하지 못 했다.

 

제주 UTD 2 : 1 인천 UTD

성남 FC 1 : 1 대구 FC

김천상무 0 : 1 수원 FC

포항스틸러스 3 : 1 강원 FC

김현은 중앙 수비수로 깜짝 나왔다가 부상 아웃. 스트라이커가 수비로 나올 정도로 현재 수원 FC 상황이 좋지 않다. 그래도 이런 경기를 잡아내니까 수원 FC가 여전히 파이널 A를 노릴 수 있는 것.

반응형

'축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K리그 18라운드  (0) 2022.06.27
K리그 17 라운드  (0) 2022.06.22
K리그 15라운드  (0) 2022.05.30
K리그 14라운드  (0) 2022.05.22
K리그-1 13라운드  (0) 2022.05.19
반응형

2주 휴식기를 앞두고 열린 15라운드였다.

월드컵 전 마지막 4연전 A매치 때문에 무려 2주 간의 휴식기에 돌입한다.

아주 이른 개막 후 쉼 없이 달린 선수들에겐 가뭄의 단비와 같은 휴식이 될 듯 하다.

 

서울 2 : 2 김천 - 왜 이기질 못 하나?

 

서울은 거의 모든 경기가 홈이었던 5월에 반등했어야 했다. 상대 역시 강원과 성남 같은 하위권 팀을 연속으로 만나는 일정이었다. 

하지만 귀신 같이 강원과 성남에게 2연패하며 리그를 흥미진진하게 하더니 김천 상대로 막판 동점골을 허용하며 2-2로 무승부를 거두는 데 만족한다.

2주 휴식기 후에 울산 만나고 감독이 바뀐 삼성과 슈퍼매치에 전북과도 붙는다. 이번 '5월의 실패'가 남은 시즌 내내 뼈아플 수가 있다.

  

저곳이 골 세리머니 존인가?

 

수원 FC 1:2 울산 현대 - 홈승우는 춤을 췄지만 경기는 또 졌다.

 

전북 0 - 2 제주 - 전북 이런 모습 생소해

 

개막전 이후 리그 홈 승이 없는 전북이 이번엔 완패했다. 

닥공의 이미지는 지워졌지만 꾸역꾸역 1-0 신승을 거두던 전북이었는데, 매번 실점에 득점조차 없다. 스쿼드를 보면 이해가 안 갈 정도. 

하지만 벤치에서 정면으로 보이는 관중석에 감독 아웃 현수막 같은 건 참 한심한 행동이다. 경기력에 도움이 되겠나?

 

인천 1 : 0 성남 - 인천 오랜만에 승리

 

결승골이 된 득점은 그냥 차내지 왜 골문으로 드리블했을까? 결과적으로 자책골이 되었는데, 송시우가 뒤에서 차며 결승골이 되었다.

김남일 감독은 왜 뮬리치와 팔라시오스를 활용하지 않는지 모르겠다. 마무리가 안 되지만 팔라시오스의 힘과 돌파력은 짧은 시간이었지만 인천전에서도 분명 보여줬다. 장신에 발도 잘 쓰는 뮬리치 역시 더 빨리 넣었어야 했다. 

 

자책골로 기록되었다는데 송시우 골이 아닌가 싶다

강원 1-1 수원

 

대구 2-2 포항

 

2부리그 - 충남 아산 돌풍!

 

광주가 부산을 3-0으로 완파하며 1위를 독주했다. 저번 라운드 10위로 추락한 부산은 그대로 머물 기세다. 

대전과 안양은 각각 서울 이랜드와 경남 상대로 90분에 골을 터뜨리며 승리하며 상승세를 이어나갔다.

이 네 팀은 플레이오프에 오를 것이란 얘기가 나오던 팀이었는데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눈여겨볼 건 충남 아산의 돌풍이다. 용병도 없는데 승승장구하고 있다. 전남은 이번 시즌 힘들 것 같다. 

안산은 퇴장자가 발생하며 김포와 비겨 2연승에 실패했다. 

 

2부리그는 A매치 때도 휴식기 없이 간다.

잔디 문제로 6월에 많은 경기를 홈에서 치르는 이랜드가 과연 반등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반응형

'축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K리그 17 라운드  (0) 2022.06.22
K리그 16라운드  (0) 2022.06.20
K리그 14라운드  (0) 2022.05.22
K리그-1 13라운드  (0) 2022.05.19
K리그 12 라운드  (0) 2022.05.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