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스 슬로운과 몰리스 게임에는 공통점이 있다. 바로 제시카 차스테인이 강력한 카리스마로 홀로 극을 이끌어가고 약에 의존하며 불면증에 시달린다. 코스튬 쇼를 보듯 다양한 패션을 볼 수가 있고 궁지에 몰려 (청문회/법원) 조사를 받는다.

 

두 영화 모두 제시카 차스테인의 걸 크러쉬를 보는 것만으로도 더 없이 만족스런 영화이며 영화 자체도 잘 만들어졌으니 추천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미스 슬로운

제목처럼 미스 슬로운 역할의 제시카 차스테인이 로비스트로 열연한다.

미국의 고질적인 총기 허용 문제를 다뤘다. 국내와 다른 상황이고 액션이 없지만 전혀 지루하지 않다.

클라이맥스의 통쾌함은 꼭 주먹을 들고 폭력적으로 가지 않아도 얼마든지 거대한 적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제스카 차스테인의 카리스마!

 

몰리스 게임

올림픽 스키 유망주가 거액의 포커판을 운영한 실화 소재 영화라고 한다. 

어떻게 보면 되게 기구한 인생인데, 시종일관 위기가 암시되어 있어 언제 위기가 닥칠까 긴장감과 함께 흥미진진하게 볼 수가 있다.

재미면에선 먼저 소개한 미스 슬로운보다 앞선다. 능력과 카리스마로 극을 이끈 미스 슬로운과 다르게 몰리스 게임에선 사람을 능숙하게 구워 삶으며 도박판을 운영하는 매력을 뿜어댄다.

 

 

★☆ 제스카 차스타인의 매력!

 

반응형
반응형

그것만이 내 세상




모성애가 소재인 신파 영화. 삼백 오십만 가까이 모였으니 신파 영화는 영원히 나올 수 밖에 없다.

영화를 보면 자꾸 이제 어떤 전개가 되겠구나 맞추고 싶은 그리고 맞춰버리는! 그런 전개가 진행되는 가운데 신파 범벅임에도 집중력 있게 계속 보게 만든 건 캐릭터를 완벽하게 소화하는 이병헌 덕분이었다. 물론 박정민도 연기를 잘했지만 영화 내에서 빈약한 시나리오를 끌어가기 위해 서번트 증후군으로 소재로 이용한 게 별로 마음에 안 든다. 버디 무비 같지만 이병헌 원탑 무비다. 얼마나 '편한' 설정이냐. 한지민 역시 마찬가지. 모든 게 가능한 그 집안은 또 어떻고. 이런 설정은 지양되어야 한다. 

불편할 정도로 눈물을 짜내려고 하지도 않지만 빈약한 플롯과 연출 때문에 감동도 없다. 기억에 남지 않는 보면 적당한 재미는 주는 영화.



나홀로 하드캐리 한다. 이병헌의 고뇌가 느껴진다.


 신파는 여전히 통하는구나.



반응형
반응형

어린이 날에 포스팅하려고 했는데 늦었다. 사실 어린이 날에 이 두 영화를 추천하는 건 마치 경사날에 슬래셔 공포 무비를 보여주는 듯한 기분이지만 두 영화 모두 끝에 가슴이 잔잔해지는 성장 영화이기 때문에 포스팅한다. 


일단 두 영화는 매우 비슷하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의 영화를 보고 나랑은 안 맞네 생각이 들면 나머지 하나는 걸러도 된다.


몬스터 콜의 경우 은유가 더 많아 해석하는 재미가 더 많다.(2회차 상영시 더욱 재미있을 여지가 크다는 말이다.) 필자는 몬스터 콜이 아이 킬 자이언츠보다 재미있었다. 

무엇보다 세 가지의 알레고리로 이루어진 이야기가 아름다운 애니매이션 화면과 함께 나와 보는 재미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아이를 괴롭히는 '원인'이 숨겨져 있는 아이 킬 자이언츠보다 아픈 펠리티시 존스를 직접적으로 드러내며 아이의 상황이 더 자세하게 보여져 답답하지도 않다. 


아이 킬 자이언츠의 경우 포스터를 보면 제목 그대로 아이가 거인을 썰어대는 판타지 무비 같지만 거인이 나오는 부분을 제외하곤 CG 그래픽도 없다. 더없이 현실적이다. 

여주인공인 매디슨 울프가 되게 밉상으로 나오는데 처음엔 자기만의 세계에 사로잡힌 돌아이가 아닌가 싶을 정도다. 하지만 영화를 다 보고 나면 이해하게 되고 미안해진다. 


두 영화 모두 소년과 소녀의 성장담이다. 내면의 흔들림과 거부할 수 없는 운명을 받아들이며 한단계 더 성숙해진다. 영화를 다 보고나면 찡한 감동과 함께 아이를 응원하게 만든다.



나 불렀냐?


야......


아이 킬 자이언트




때릴까? 체념할까? 고민의 길목에 서있다.


연기 잘 하더라.


반응형
반응형

우아한 세계

송강호의 연기는 정말 대단하다. 극중에서 송강호는 어느정도 힘을 가진 조직폭력배 부두목 정도의 지위를 가졌는데, 직업이 건달이어도 결국 가족을 부양하는 건 똑같다는 컨셉이다. 

감독은 불멸의 걸작인 미국드라마 소프라노스에서 아이디어를 가져온 듯한 모습인데, 블랙코미디라고 부를 수도 있지만 풍자나 해학보다는 기존 잔인하고 폭력 위주의 깡패 소재 영화에서 차별화를 가한 정도다. 

경쟁하는 조직파(오달수)와 오랜 친구사이라 밥을 먹으며 고민을 토로하고, 용역깡패짓을 하다 되려 당한다. 가족을 위해 집을 구매하려고 돌아다니지만 정작 부인과 딸에게 무시당하는 신세다. 

하지만 궁상 맞은 모습만 보여주는 건 아니다. 윤제문과의 갈등으로 칼든 킬러들을 상대로 위기에 쳐하고 칼맞은 상태에서 목숨 걸고 차를 몬다.(이 영화의 액션과 차량추격은 꽤 리얼하다.)   

기존 "느와르 영화"와는 다른 영화다. 다만 불만인 건 송강호가 분명 살인을 저질렀는데, 아무리 정상참작이라도 금방 석방이 된다는 게 말이 되질 않는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