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네토 트릴로지는 정식 명칭은 아니지만 감독인 에드가 라이트와 사이먼 페그(각본도 참여) 그리고 닉 프로스트가 주연을 맡은 3부작 영화를 말한다.


개인적으로 최고의 버디 무비라 평하는 뜨거운 녀석들(HOT FOZZ)은 영화 리뷰로 따로 다뤘으니 태그(트릴로지)를 이용해 검색해보시고 남은 두 영화를 소개해 본다.



새벽의 황당한 저주(SHAUN OF THE DEAD) 



저예산으로 만든 영화라 같은 장소를 계속 도는 기분은 착각이 아니라 사실이다.

패러디 영화인데, 이 영화에서 말하고자 하는 주제는 첫 장면과 끝 장면에 고스란히 드러난다. 

그 사이 중간 부분은 그냥 재미로 보면 된다. 


뜨거운 녀석들을 보고 콜네토 트릴로지를 알게 된 후 잔뜩 기대하며 아무 정보 없이 봤는데 당황스럽긴 했다. 

애초에 제작진이 이 저예산 영화의 대박 흥행을 예상했겠나, 영화를 보는 사람도 큰 즐거움 얻겠다는 생각 말고 중간마다 웃으며 킬링타임으로 보면 만족하지 않을까 싶다.   



이런 장면이 되게 웃기다.(개그 코드 안 맞으면 끝까지 재미없을 것이다.)




뜨거운 녀석들(HOT FOZZY)


따로 리뷰로 다뤘다.

http://wkrrkghkd.tistory.com/570



지구가 끝장나는 날(THE WORLD'S END)



새벽의 황당한 저주의 대박에 뜨거운 녀석들이 나왔고 덕분에 빵빵한 예산으로 더 월드 앤드까지 나올 수 있었다.

국내엔 개봉조차 못했는데, 보고 나면 수긍하게 된다.(그리고 국내명 제목도 참 별로다.) 


영화는 간결하다. 새파랗게 젊었을 때 완수하지 못한 펍 투어를 다시 시작하는 것이다. 

이 역시 새벽의 황당한 저주처럼 영화에서 주고자 하는 메시지가 명확하게 드러나는데, 본격적으로 전개되면서 스릴런가 싶다가 갑자기 SF와 액션이 가미되며 급격하게 장르가 커브를 틀다가 이후부터는 하강하는 롤러코스터처럼 빠르고 정신없이 나간다.


현지에서도 흥행이 기대에 못 미쳤다고 하는데, 너무 요란하게 만든 게 아닌가 생각이 들기도 하다. 하지만 에필로그 부분은 아주 좋았다.


에필로그에 나오는 나레이션 일부를 옮겨본다.

---------------------------

게리가 어디 있든 행복하길 바라. 게리가 원한 건 그게 전부였으니까.

인생을 즐기는 것. 다만 술 없이도 즐길 수 있길 바라.

진정한 행복, 진정한 친구야말로 인생의 전부니까 지켜낼 가치가 있으니까.

-----------------------------


콜네토 트릴로지는 중간에 뜬금없는 뜨거운 녀석들을 제외하곤 완벽하게 호불호가 갈릴 작품이라 선뜻 추천하기가 그렇다. 하지만 술자리에서 영화 얘기가 나왔을 때 한번쯤 꺼내볼 만하다. 취향저격으로 재미있게 본 사람이 있을 경우 상당히 즐겁게 대화를 나눌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아재들이 술집 투어하는 영화

홍일점인 로자먼드 파이크 너무 아름답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