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추선이라는 한정된 공간이 배경인 영화를 다뤄본다. 


딥워터 호라이즌 



실화를 바탕으로 한 재난 영화다. 일반 재난물처럼 재난 장소에 도착하기 전 각 재난 당할 인물들의 가족이 보여지고 사고가 어떻게 일어나겠다 유추를 하게 만드는 존 말코비치의 작업 강행으로 인한 현장인원과 마찰이 드라마로 펼쳐지고 시추선이 폭발하며 화재에 휩싸이는 장면이 엄청난 그래픽 효과로 나온다. 이게 전반부의 마무리고 후반부 딥워터 호라이즌의 진짜 영화가 시작된다. 


시추선을 집어 삼키는 화재에 대한 영화가 아니기 때문이다. 사건 발생 후 맷 데이먼을 비롯한 주인공들이 책임감으로 부상을 입었음에도 목숨을 무릅쓰고 다른 사람의 구조를 위해 불 붙은 시추선을 누비는 장면과 사고 발생 후 신고를 받은 구조 기관이 발 빠르게 연계해서 시추선 근무자들을 최대한 많이 안전하게 구조하는 모습을 희망에 가득 차 보는 게 영화의 진짜 감상 포인트다. 


역시나 인재로 발생한 재난이었는데, 관계기관의 발 빠른 후속조치와 자기 목숨 상관없이 다른 사람의 구조를 나서는 헌신적인 모습. 게다가 실화를 기반으로 했기에 나중엔 구조에 성공하는 모습을 보면 안도감까지 든다. 


시추선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단순한 화재 특수효과 감상이 아니라 사람을 구하기 위한 분투기가 감동을 이끌어 낸다.

다소 지루한 편이고 실화를 기반으로 했기에 재난 발생 후 빠르게 전개되는 방식이 아니지만 추천하는 재난 실화 영화다. 




7광구



2017년 리얼이 있기 전에 7광구가 있었다. 엄청난 제작비를 쏟아 붓고 특급 배우들이 열연한 최악의 영화였다. 

시추선을 배경으로 도망칠 수 없는 밀폐된 공간에서 갑자기 괴물이 튀어 나와서 도망치다가 죽는 게 내용의 전부다. 

어떠한 알레고리도 없고 당췌 시나리오라고 할 만한 게 없다. 


한정되고 밀폐된 공간에서 나타난 미지의 압도적이고 파괴적인 괴물. 명작 영화 에어리언이 생각나는데, 

짭이라도 조금의 기시감이라도 들게 만들어냈다면 이정도로 까이진 않았을 텐데. 

이 영화엔 긴장감마저 없다. 픽픽 자신도 모르게 새어나오는 실소. 


한국 최초 3D 액션 그래픽 블럭버스터 = 돈 낭비 혹은 자랑, 그래픽 자랑. 내용 없음.

영화를 보고 한참이 지나도 봉준호의 한강 괴물은 그 모습이 생생히 떠오르는데, 

7광구의 괴물은 아무런 존재감이 없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