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머니와 손자 혹은 할머니와 손녀 이야기는 기본적으로 부모의 '결핍'이 우선된다. 부모의 부재를 부모의 부모인 할머니가 보듬는 것.
부모와 자식 사이에도 세대 차이가 나는데 조부모와 손자(녀)는 오죽할까? 그래도 '내리사랑'은 그대로다. 부모-자식보다 낯설며 신파의 더 없이 적절한 소재라 은근히 나온다.
이번 테마영화에선 <할머니의 내리사랑>이란 주제로 집으로 / 계춘할망 / 감쪽같은 그녀를 묶어 소개해본다.
집으로


이 영화가 가문의 영광에 밀려 2002년에 흥행 2위를 한 게 아쉽다.
영화인 걸 알지만 페이크 다큐인가 속을 정도. 진짜 철부지 같은 유승호의 연기와 정말 손자를 대하는 것 같은 할머니.
통닭은 먹고 싶다는 투정에 삼계탕을 해준다든가, 직접 머리를 잘라주며 유승호를 미치고 팔짝 뛰게 하는 모습은 아름답게 웃긴다.
유승호가 할머니를 위해 실을 고리에 걸어주는 장면들은 분명 의도되었지만 울컥하게 만든다.
혹시 이 영화 안 본 사람들 나온지 거의 이십 년이 다 되어가지만 추천한다.
아래에 소개할 계춘할망이나 감쪽같이 그녀의 지나치게 의도된 신파에 실망한 사람들은 집으로를 보며 앞으로도 계속 나올 이런 류의 영화에 편견을 없앨 수 있을 것이다.




계춘할망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조부모-손자,손녀를 소재로 한 영화가 많이 나오기에 관계를 비트는 시도가 나오기도 한다.
계춘할망은 약간이라기에는 클리셰 덩어리라고 할 수 있는 진부한 시나리오지만 나름 반전이 심어져 있긴 하다. 이 관계의 반전마저 없었으면 러닝 타임 낭비였을 것이다.
윤여정과 김고은 두 배우의 연기가 충분히 노골적인 신파를 이해하고 눈물을 흘려줄 수 있고, 제주도라는 공간이 시나리오가 가져다 주는 진부함을 없애준다.






감쪽같은 그녀


나는 이 영화가 너무 노골적인 울리기와 불행의 전시로 슬픔보단 고통만 느꼈다.
아이들을 활용한 것도 대상 연령층과는 동떨어져 있고, 중간마다 나오는 에피소드는 유치하고 소모적이다.
불행 전시 -> 맥 없는 이야기 -> 불행 전시의 흐름이라. 굉장히 작위적인 이야기.
김수안의 나 연기 천재에요. 하는 것밖에는 느껴지는 게 없었다.
이런 류의 영화에 별 상황이 아닌데도 눈물을 쏟는 사람이 아니고서야 추천할 수가 없다.








'테마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여행 리포트-내 마지막 고양이가 너라서 참 좋았어 (0) | 2021.01.05 |
---|---|
주디 JUDY - 어쩌면 주디보다 르네 젤위거를 위한 영화 (0) | 2021.01.02 |
다시, 봄-부족한 개연성과 내용을 잔잔한 영상과 음악으로 메운다 (0) | 2020.10.27 |
벌새-소녀를 위로해줘. 개인을 위로하며 시대를 위로하다. (0) | 2020.10.24 |
GP 506 (0) | 2020.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