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협상

영화가 시작하고 인질극 상황과 다르게 산뜻하게 등장하는 손예진. 프롤로그니까 가뿐하게 해결해서 능력을 과시하겠지 싶었는데 예상이 빗나간 상황에 당황스러웠다. 영화를 보면 프롤로그를 왜 이렇게 만들었을까 그 이유를 알기 전까지 계속 머리에 맴돌았다.


영화는 기대를 안 하고 봐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의외로 끝까지 붙들어 놓는 매력이 있었다. 딱 끼워맞춘 스토리란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 진부한 캐릭터들 익숙한 이야기 반전이랄 것도 없다. 


카타르시스도 없고 재미있다는 생각도 들지 않는다. 제목은 협상이지만 손예진과 현빈이 1:1로 팽팽하게 줄다리기를 하지도 않고 극적 효과나 긴장감이 하나도 없다. 


그런데도 협상이 보통 이상의 영화가 되는 건 순전히 배우, 손예진과 현빈의 매력 덕분이다. 콕 집어 말하자면 손예진과 현빈의 '외모'가 영화를 크게 몰입시킨다. 영화를 인물-사건-배경으로 크게 나누자면 인물에 85%가 몰빵된 영화. 보고나면 허무한데 보게 된다.


공범 

협상을 보기 전부터 떠올랐다. 협상을 보면서 그 생각이 더 공고해졌는데, 협상과 공범 모두 감정을, 감정만 너무 앞세운 영화이기 때문이다.

공범은 가족의 윤리를 다뤘고 우연히 알게 된 일로 인해 생겨난 의심과 가족이기에 생기는 갈등 충분히 긴장을 유발시키는 좋은 소재를 가진 영화였다. 

문제는 그럴 듯해 보였지만 감성 스릴러라고 해놓은 것과 달리 오디션 받나 싶을 정도로 손예진의 감정 연기만 남발되어 아쉬움을 준 영화였다. 


협상과 공범 모두 시나리오의 개연성이나 영화가 의도와 달리 감정만 너무 앞섰고 연기자들의 열연만 남아서 아쉬운 영화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