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영화

[영화대영화] 밀레니엄 1부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

wkrrkghkd 2018. 8. 6. 22:32
반응형

이번 영화대영화로 다룰 영화는 <밀레니엄 1부 :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

시리즈 장편 소설이 원작이며, 스웨덴에서 먼저 영화로 제작되었고 이후 미국 헐리우드에서 리메이크 했다.


 


렛미인과 렛미인 헐리우드판처럼 플롯이 다르지 않다. 특히, 한 시간 때까지는 거의 동일하다.

(한 시간 동안 몇 가지가 다른데 신혼부부를 헐리우드 판의 경우 서로 만나 후 각자 조사를 할 때 만난다거나, 

아예 대신 스웨덴판에는 없는 한 가지 장면을 집어 넣었는데, 스포가 되어서 말 못하겠지만 엄청 큰 변화다.)


이후에는 조금씩 작으면서도 큰 변화를 가지고 간다. 

소설 원작은 읽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관점 차이라고 볼 수 있을까?


사건의 중요한 힌트를 얻게 되는 것도 다르고 이후 둘이 만나는 것도 다르다. 

이건 협력자와 조수의 차이로 볼 정도로 크다.  

(스웨덴판 노미 라파스-미카엘 뉘키비스크 그리고 헐리우드판 다니엘 크레이그-루니 마라)

둘간의 첫 섹스신도 너무 큰 차이를 보이고, 이후 둘의 관계 역시 크게 변화한다.

스웨덴판의 경우 동등 혹은 노미 라파스가 압도하기도 하고 서로 관계가 평행선을 그리는데,

헐리우드판은 종속적인 관계로 만들어 버린다. 관계 후 다음 날 밥은 왜 차리는데? ㅋㅋㅋ


아, 그리고 2편에서 매우 중요한 복선으로 작용되는 걸 헐리우드판에선 말로 설명하고 끝나서 애매하다.

헐리우드판은 정말 헐리우드식으로 리메이크를 했다. 조금 더 자극적인 장면이고 오락적인 장면을 더 보여준다.

큰 반전이 하나 있는데, 헐리우드판이 더 크긴 하지만 이것 때문에 헐리우드판을 봐야 할 이유는 없다.


선택의 순간


여러모로 비교해 봤을 때 스웨덴판이 헐리우드판보다 더 낫다. 


게다가 이후 헐리우드판은 시리즈가 더 이상 제작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미 시리즈가 다 나온 스웨덴 판으로 보는 걸 추천한다.

물론 시리즈로 이어지지만 이 1부에서 하나의 이야기가 종결되기 때문에 더 안 봐도 상관은 없다. 플롯이 좋기 때문에 집중해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언급할 건 여자 배우의 캐스팅 차이가 너무 크다는 것이다. 2편부터 설정상 여자 주인공의 중요성이 더 커지는데, 헐리우드판 루니 마라의 경우 아무리 과격한(?)분장을 해도 외모에 여린 모습이 남아 있다. 

반면 지금은 헐리웃 유명 배우가 된 스웨덴판 여주인공 누미 라파즈의 카리스마가 정말 엄청나다. 그래서 스웨덴판이 더 빛난다.

 

저한테 맡겨요. 007이에요,

좋아?ㅋㅋㅋ

누님이라는 말이 절로 튀어나온다


소녀의 행방을 찾아라


 

반응형